미주리과학기술대학교 [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미주리과학기술대학교는 미국 미주리주 펠프스 카운티의 롤라에 있는 공립 종합대학교이다. 랜드그랜트, 스페이스그랜트 대학교이다. 미주리대학교 시스템의 일원이다.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중심 대학으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이공계 분야에서 명성이 높지만 경영학과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 분야의 교육과정도 제공한다. R2: 박사 대학교 - 활발한 연구 활동으로 분류된다. 랜드그랜트 대학이란 1862년부터 시행된 모릴랜드그랜트법의 지원을 받은 곳을 의미한다. 이 법을 통해 연방정부는 대학 설립을 조건으로 토지를 주정부에 양도했다. 스페이스그랜트는 우주 연구를 위해 미국 52개 대학을 연결한 프로그램이다. 미주리대학교 시스템은 4개 대학교로 구성되어 있고, 4개 소속 대학교에 등록된 학생을 모두 합치면 7만 명이 넘는다. 건강보험은 미주리주 중부의 여러 병원들에서 적용된다. 콜럼비아에 위치한 미주리대학교가 중심이고 미주리과학기술 대학교, 미주리대학교 캔자스시티, 미주리대학교 생루이가 포함된다.
미주리과학기술대학교의 역사
미주리과학기술대학교는 1870년 미주리 광산야금학교로 탄생했다. 이는 미시시피강 서안에 처음 생긴 공학 교육기관이었다. 롤라는 미국의 납 생산량의 70% 가량을 담당했고 아연의 주요 산지였던 미주리 남동부 납 지구, 일명 납 벨트 인근에 위치했다. 광산야금학교는 개교 초기 모릴 랜드그랜트법의 지원을 받기 위해 콜럼비아의 미주리대학교의 소속이 되었다. 미주리의 아이언 카운티와 펠프스 카운티가 학교를 유치하기 위해 도전했다. 아이언 카운티는 11만 2,545달러를 제시했고, 펠프스는 13만 545달러를 제시했다. 이에 따라 1870년 펠프스 카운티가 입지로 선정되었다. 첫 수업은 롤라 고등학교 건물에서 1871년에 시작되었다. 첫 입학생은 28명이었고, 첫 졸업생은 1874년 배출되었다. 1875년 광산야금학교는 한 건물을 2만 5,000달러에 인수했다. 이 건물은 수학 통계학과 강의실과 도서관, 학과장실, 학과 행정실 등으로 사용된다. 1920년대 광산야금학교는 토목공학, 전기공학, 기계공학, 화학공학, 화학, 물리학, 수학, 지질학 등 교육과정을 신설했다. 1961년 광산야금학교는 미주리주에서 최초로 원자로 시설을 갖추었다. 1964년까지 광산야금학교는 콜럼비아에 본 캠퍼스를 둔 미주리대학교의 농업과 기계학 분교 정도로 여겨졌다. 1963년 미주리대학교 시스템은 캔자스시티와 생루이 등지에 캠퍼스를 신설했다. 이듬해 광산야금학교도 캠퍼스로 격상되어 롤라의 미주리대학교가 되었고, 교장도 총장으로 승격되었다. 교육과정도 대부분의 과학과 공학 분야로 확장되었고, 사회과학이나 인문학 과목도 추가되었다. 1968년 교명이 다시 미주리대학교 롤라로 변경되었다. 2008년 미주리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미주리과학기술대학교의 특성
미주리과학기술대학교는 2023년 타임스 고등교육의 세계대학 평가에서 세계 501-600위권, 미국 대학 중 192위로 평가됐다. 2023년 QS 세계대학순위에서는 세계 480위, 미국 151-160위권을 기록했다. 2023년 세계대학순위센터의 세계대학 순위에서 세계 923위, 미국 대학 가운데 201위로 나타났다. 2023년 유에스뉴스&월드리포트의 미국대학 평가에서 전체 미국 대학 중 182위, 공립대학 가운데 91위로 평가됐다. 2022년 포브스지의 미국우수대학 순위에서는 전미 234위, 공립대학 중 106위, 중서부지역 대학 가운데 37위를 기록했다. 미주리과기대는 풀형 원자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1961년 도입된 원자로는 미주리주에서 처음 운영됐다. 이 대학교는 원자로를 훈련, 교육, 연구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